함수적 종속(Functional Dependency)
- 정규화를 하기 위해서는 릴레이션에 존재하는 함수적 종속성을 먼저 파악하여야 한다.
- 어떤 릴레이션 R에서 A와 C를 각각 R의 속성 집합에 대한 부분 집합이라고 할 경우 속성 A의 값 각각에 대해 시간에 관계없이 항상 속성 C의 값이 오직 하나만 연관되어 있을 때, A는 C를 함수적으로 종속한다. A -> C
- A : 결정자 B : 종속자
- 완전 함수적 종속 : X->Y이면서도 X의 임의의 진부분집합인 Z와는 종속관계가 없는 속성
- 부분 함수적 종속 : X->Y이면서도 X의 임의의 진부분집합인 Z와도 Z->Y인 속성
ex) { 학번 , 과목 } -> 학과 // X -> Y
{ 학번 } -> 학과 // Z(X의 진부분진합) -> Y
※ 부분함수적 종속
정규화(Nomarlization)
비정규 릴레이션
↓ 도메인이 원자값
제 1정규형(1NF) : 테이블에 속한 모든 속성의 도메인이 원자값
↓ 부분 함수적 종속 제거
제 2정규형(2NF) : 기본키가 아닌 모든 속성이, 기본키에 대하여 함수적 종속을 만족
↓ 이행 함수적 종속 제거( A->B , B->C일때 A->C를 만족하는 관계)
제 3정규형(3NF) : 기본키가 아닌 모든 속성이 기본키에 대해 이행적 함수적 종속을 만족하지 않음
↓ 결정자가 후보키가 아닌 함수종속 제거
BCNF : 모든 결정자가 후보키
↓ 다치종속 제거( {A,C}에 대응하는 B값의 집합이 A값에만 종속되고 C값에는 무관하다면 B는 A에 다치종속성존재 A->〉 B)
제 4정규형(4NF) : 테이블 R의 다치종속 A->->B가 존재할 경우, R의 모든 속성이 A에 함수적 종속
↓ 조인종속 제거
제 5정규형(5NF) : 테이블 R의 모든 조인 종속이 R의 후보키를 통해서만 성립
업무프로세스
EAI(Enterprise Application Indegration) : 기업 애플리케이션 통합
: 비지니스 프로세스를 중심으로 기업 내 각종 애플리케이션 간에 상호 연동이 가능토록 통합하는 솔루션
SOA(Service Oriented Architecture) : 서비스지향 아키텍쳐
: 대규모 컴퓨터 시스템을 구출할 때의 개념으로 업무상에 일 처리에 해당하는 소프트웨어 기능을 서비스로 판단하여 그 서비스를 네트워크상에 연동하여 시스템 전체를 구축해 나가는 방법론
Mashup(매쉬업)
: 웹에서 제공하는 정보 및 서비스를 이용하여 새로운 소프트웨어나 서비스, 데이터베이스 등을 만드는 기술
신기술동향
Telepresence : 공간적으로 떨어져 있는 장소 또는 가상의 장소를 신체적으로 경험하는 것
Widget : 컴퓨터에서 운영체제의 응용 프로그램을 동작시키고 결과를 화면에 표시하는 작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도구
ICN : 통신을 기반으로 한 이전의 인터넷 통신 패러다임을 정보 중심으로 재편성하려는 네트워킹
C4I : 군의 전 자원을 전산화하고 네트워크로 연결해 효율적인 전쟁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통합 전장 관리 체계
OGSA : 애플리케이션 공유를 위한 웹 서비스 표준과 인프라 자원의 공유를 그리드 기술이 결합된 개방형 표준
'Fre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오늘의 노래 (0) | 2016.06.14 |
---|---|
정보처리기시 실기 13년 2회 (0) | 2016.06.13 |
정보처리기사 실기 최근 기출된 용어들 (0) | 2016.06.12 |
정보처리기사 실기 DB정리 (0) | 2016.06.12 |
JAVA 난수생성 (0) | 2016.06.08 |